<프로필과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
전에 봤던 거 참고하자
초기화 스크립트 작성 위치 |
1) 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2) Master Boot Record (MBR) 3) LILO or GRUB 4) Kernel 5) init : process number i(PID=1) -/linuxrc : load modules / initialize devices / exits -/sbin/init -/etc/inittab : run boot scripts -/etc/init.d/rcS -/etc/tcS.d/S* scripts -/etc/rc.boot/* 6) Run Levels |
굵게 표시한 프로세스 순서에서 프로필과 환경변수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파일들이 동작한다
저 경로에 기존 환경변수 설정 파일이나 프로필 설정 파일이 있다는 거다
Shell 스크립트 실행 순서 |
로그인 할 때 실행되는 스크립트 RC(Run Commands) Bash 시작 스크립트 > 로그인 쉘 /bin/login first user log in runlevel #3 /etc/profile(모든 사용자 설정 파일) [/etc/bash.bashrc, /etc/profile.d] ~/.profile(개인 사용자 설정 파일) > 비 로그인 쉘 /bin/bash or /bin/su or teminal virtual terminal run /etc/bash/bashrc, ~/.bashrc > Bash 로그아웃 스크립트 ~/.bash_logout |
원하는 건 저 두개임
모든 사용자 로그인 프로필 설정 방법1) | |
cd /etc profile | 모든사용자 설정 파일 위치 |
sudo nano /etc/profile | 코드 최하단에 프롬프트 설정, 컬러 등 명령어 추가 한 뒤 저장 |
source 명령어를 이용해 profile을 적용하거나 재로그인 해야 적용됨 | |
모든 사용자 계정에 적용된 것을 확인한다 |
모든 사용자 로그인 프로필 설정 방법2) | |
cd /etc/profile.d | 디렉토리로 이동 |
sudo nano alias.sh | 원하는 .sh 파일을 만들어 설정 명령어를 작성 |
재로그인 후 적용된 것 확인 |
개인 사용자 로그인 프로필 설정 방법) | |
cd ~; ls -a | 개인 홈 디렉토리 이동, 숨김 파일 및 디렉토리 확인 (.profile 숨겨져 있음) |
nano .profile | 코드 최하단에 명령어 추가한 뒤 저장 |
(미리 작성 된 코드 중 $PATH 관련 코드 제어문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문으로 불러오는구나 하면 된다 | |
재로그인 후 개인 사용자 계정에만 적용된 것을 확인한다 |
Linux 데스크탑을 통해 DOS 창을 띄울 때는 비 로그인 쉘로 실행되는데 기존의 로그인 설정을 바탕으로
.bashrc 설정 파일만 실행된다
로그아웃 할 때마다 사용하고 싶은 스크립트 명령이 있다면 ~/.bash_logout에 작성해주면 된다
환경 변수를 설정할 수 있는 파일들 |
/etc/environment
환경변수 설정 파일
PAM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
플러그형 인증 모듈
/etc/pam.d$ PAM을 사용하는 인증 서비스를 모아둔 곳
내용이 뭔지 보면
/etc/pam.d$ cat login
>> reading this file *in addition to /etc/environment* does not hurt
session required pam_env.so readenv=1 envfile=/etc/default/locale
pam 모듈을 사용하는 인증 서비스는 environment 폴더에서 읽어 들인다는 걸 알 수 있다
잘 모르겠지만 그냥 환경변수 설정 파일은 저 디렉토리에 이꾸나~ 하면 될듯
cat /etc/environment
>> PATH="/~:/~:/~"
environment 파일의 내부를 보면 환경 변수가 작성되어 있다
이걸 편집기로 조물딱 하면 환경변수를 편집할 수 있다
'Developmen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Ubuntu Server 간단한 사용법 (Debian 설치 패키지 관리자) #17 (0) | 2022.09.25 |
---|---|
Linux & Ubuntu Server 간단한 사용법 (JDK 전역화 하기 -시스템 환경변수 설정하기-) #15 (0) | 2022.09.25 |
Linux & Ubuntu Server 간단한 사용법 (컴퓨터 켜고 끄기와 Run Level) #15 (0) | 2022.09.25 |
Linux & Ubuntu Server 간단한 사용법 (명령어 별칭 만들어 사용하기) #14 (0) | 2022.09.25 |
Linux & Ubuntu Server 간단한 사용법 (출력 색상 변경하기) #13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