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배운 것 :
<ResponseEntity>
HttpStatus
HttpHeaders
HttpBody
Optional 사용에 대한 주의점
@Configuration 사용 예 확인
웹의 인증 및 인가의 개념 이해
쿠키값에 저장되는 구성요소
세션 리마인드
HTTP stateful, stateless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할 것이 예상될 때의 대응법
스프링 세큐리티 사용법 (5.7 미만 버전, 이상버전에 따른 용법의 변환, 변환된 이유)
뭔가 엄청나게 많은 세큐리티 내의 객체 및 메소드들 확인
뭔가 엄청나게 깐깐한 세큐리티 보안 일부 영역 해제 방법
DB에 저장되는 비밀번호 암호화는 정보통신망법에서 필수로 하도록 권고되어 있다
BCryptPasswordEncoder 비밀번호 DB 단방향 암호화하는 법
느낀 점:
스프링 세큐리티는 또 뭔가 많다 임마 스프링 본체도 아닌게 뭐 이리 많아
타고 타고 넘어가다 보면 서블렛컨텍스트도 보이고 로그인 폼이나 유저 엔티티, 유저 서비스 폼이 미리 정의되어 있질 않나 별게 다 있다
공식문서에 가보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객체나 메소드도 잔뜩 있고 대체 이건 뭘까
? 뭘까?
아쉬웠던 점:
시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