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관리 명령어>

 

 

mkdir 디렉토리 생성
rmdir  디렉토리 삭제
touch  빈 파일 생성
mv 파일 이동 / 변경
rm 파일 삭제
cp  파일 복사

 

 

rm -r remove -recursive 재귀함수 옵션
삭제하려는 디렉토리의 디렉토리와 파일을 최하위 부터 전부 삭제한다

 

rm -i remove -interactive 상호작용 옵션
삭제하려는 파일을 삭제하겠냐는 재확인 구문을 띄워줌 (rm -ri 등으로 사용)

 


ex)

mv bin aa bin을 aa라는 이름으로 변경
touch test.txt text.txt 파일 생성
mv test.txt workspace/ text.txt 파일을 workspace 디렉토리로 이동
rm -r aa aa 디렉토리와 하위 파일 전부 삭제
rm -ri aa aa 디렉토리와 하위 파일 전부 삭제 (최하위 파일부터 재확인 입력구문 출력)
cp test.txt test.cpy test.txt를 test.cpy로 복사

 

 

<파일 경로와 순회하기>



../ 상대경로
/ 절대경로

 

cd / change directory root 디렉토리를 변경
ls current directory's list 디렉토리 목록 나열
ls -l  current directory's list -longType 디렉토리 목록 자세히 나열
pwd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디렉토리 경로 출력



ex)

cd ../  부모 디렉토리로 이동
cd ./var  ls의 var 디렉토리로 이동
cd /usr/myapp/var  절대 경로로 이동



myaccount@server:~$                         ~ 는 현재 계정의 home 디렉토리를 뜻한다
myaccount@server:/$                          / 는 현재 디렉토리를 뜻한다

myaccount@server:~$ pwd
>> /home/account
cd ~ 을 하면 바로 현재 계정의 home 디렉토리로 갈 수 있음

 

 

ls workspace/ workspace 디렉토리의 list 보기
clear shell 화면 내용 지우기
man ls list 메뉴얼 보기

 


tip) 디렉토리나 파일명 중 일부를 치고 tab키를 누르면 자동완성 기능이 작동함
동일한 파일명이나 디렉토리명이 존재할 시 tab키를 두번 누르면 자동완성 목록이 출력됨
ls -a 옵션은 숨김 파일도 볼 수 있음

 

 

<Linux Ubuntu 18.04 Server 사용>


~$ 일반 사용자
~# 관리자 (root)

 

su - root  (switch user) 계정 전환
sudo su - root (superuser do switch user - root) 관리자 권한으로 계정 전환
logout 로그아웃 (관리자 계정일시 일반 계정으로)


시스템 보호를 위해 일반 계정에 관리자 권한을 부여하여 사용한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

 

 

/ 루트 디렉토리

 

bin/ boot/ dev/ etc/ home/ media/ tmp/ mnt/ sbin/ sys/
usr/ var/

 


윈도우와 비교

bin/system c:/windows 가면 있는 파일들
home/사용자계정폴더/내문서폴더들 사용자 계정에 따라 다르게 저장되는 파일들
media/ cd-ROM, USB, C:, D: ... 외장장치및 드라이브들
etc/registry regedit 하면 나오는 설치된 app 외부설정이 모여있는 파일들



ex)
home/사용자계정1/  bin/, etc/, tmp/, var/
home/사용자계정2/  bin/, etc/, tmp/, var/


본래는 외장장치 및 드라이브들은 mnt/ (mount) 폴더에 넣어 썼었지만, 현재는 media 폴더에 넣어서 사용하기로 함. 삽입한 외장장치나 드라이브를 찾고싶으면 media 폴더와 mnt 폴더 뒤져본다 (windows는 그냥 루트디렉토리에서 바로 새로운 디렉토리로 파생되지만 unix/linux는 다르다)

 

bin/ binary 폴더 리눅스 전체에서 사용하는 바이너리 파일들
sbin/ systembinary 관리자 계정이 쓰는 bin 폴더
sys/ system 설정 폴더
tmp/ 임시 폴더
usr/ 윈도우의 Program Files 폴더 (프로그램 설치하는 곳)
var/ 프로그램 실행 중 만들어지는 데이터(값) 들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etc/registry 프로그램 외부설정은 여기에



+ Recent posts